현대 국제정치 시사/현대 국제정치의 배경지식

국제관계에서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정암님 2019. 2. 3. 08:41


근대이후 서방을 필두로 한 국가들의 대외정책은 보수와 진보라는 이념적 스펙트럼으로 구분할 수 없다. 그보다는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의 경합과 갈등, 조합의 산물이었다. 현실주의란 국가의 대외정책 목적과 국제사회의 본질은 현실적 국익이며 이를 위해서라면 상대와의 대화와 타협 혹은 전쟁까지도 가리지 않는다고 거칠게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이상주의는 국가, 특히 국제사회의 본질은 특정 가치에 입각해 이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보며,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는다.


국가의 정책, 특히 대외정책 성공 여부는 상황에 따라 현실주의와 이상주의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공동의 가치가 없는 지나친 현실주의는 국가 사이의 갈등과 분쟁으로 귀결될 소지가 크고, 지나친 이상주의 역시 상대와의 협상과 타결을 불가능하게 하며 참극으로 끝난 것을 역사는 보여준다.


발췌)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한겨레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