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세계사

소련은 왜 아프가니스탄(이하 아프간)을 침공했나?/ 아프간의 지정학

정암님 2019. 10. 16. 17:23


1979년 12월 소련군은 아프간을 침공했다. 당시 아프간에는 무함마드 타라키가 이끄는 친소 인민민주당 정권이 들어서 있었다. 하지만 그 입지는 위태로웠다. 아프간의 이슬람 세력은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사회주의 정권을 적으로 간주하고 무자헤딘이라는 무장집단을 만들어 정권을 위협했다. 여기에 이란혁명이 발발하자 아프간 내 이슬람 세력의 위협은 더욱 커졌다. 친소정권이 위태로워지자 소련은 우호 협력을 명분으로 군대를 파견했다.


쉽게 끝날 것 같던 전쟁은 무려 10년간 이어졌다. 결국 소련은 1만 5000여 명의 전사자를 내고 1989년 철군했다. 이후 아프간 공산정권은 4년을 더 버티지만 결국 무너지고 1996년 반미 성향의 팔레반이 권력을 장악했다. 결과적으로 소련의 아프간 침공은 치욕적 철군과 막대한 피해를 남기며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고 이는 냉전 종식으로 이어졌다.

미국도 영향을 받았다. 미국은 반소 무장집단인 무자헤딘에게 무기와 자금을 지원했고, 이들은 전쟁을 통해 군사적으로 단련되고 정신적으로 더욱 이슬람 원리주의를 내면화시킨 전사로 성장했다. 그들이 후일 9.11 테러의 주역인 알카에다와 탈레반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미래의 적에게 무기와 자금을 지원한 꼴이 되었고, 이는 9.11 테러와 아프간 전쟁 그리고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무위로 끝났지만 소련이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 출구가 보이지 않는 전쟁을 수행한데는 그만한 전략적 이유가 있었다. 

1> 소비에트 연방내 중앙아시아에 이슬람 세력 침투 차단

:아프칸에서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이 친소 정권을 전복한다면 이슬람 교도가 많은 투르크메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이 위험해질 수 있다.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공산주의와 이슬람 원리주의는 결코 공존할 수 없다. 따라서 아프간이 무너지면, 이슬람교도가 많은 연방내 중앙아시아 지역이 불안정해지고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유지에 커다란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

2> 미군의 직접적 위협 제거

:아프간이 미국 영향하에 들어간다면 지리적으로 코앞에 미국의 공격 미사일이 배치되어 소련 안보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3> 석유 유통로의 확보

:아프간과 주변 카스피해 연안은 인도양과 페르시아만으로 가는 요충지다. 대형 산유국인 소련에게 이 유통로의 확보는 중요한 과제였고, 아프간은 석유 유통로의 중심이자 전략적 요충지였다.


참고)

1. 석유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는가/ 최지웅 지음/ 부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