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근세사) 동족마을의 형성과 문중서원의 난립 17세기 당쟁의 여파로 많은 서원들이 난립하면서 사회적 폐단을 일으키자, 영조는 180여 개의 서원을 허물고 이 후 나라의 허락을 얻지 않은 서원의 신설 금지, 추향 금지, 사액 억제라는 강경한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정조 이래 법이 완화되자, 유림들은 여러가지 구실을 붙여 서원건립.. 역사/한국사 2016.01.01
조선시대 서원의 기능/ 서원에서 무엇을 했나? 조선시대 서원의 기능은 크게보면 제례(향사)와 교육이었다. 이외에도 서원은 지역 유림들이 모여 향촌과 나라일 을 논의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장소였으며, 도서를 간행하고 보관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우선 서원의 양대 기능인 제례와 교육을 좀더 세밀하게 살펴보자. 1.서원의 제례기.. 역사/한국사 2015.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