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답사/문화 기초 개념 3

중국의 옥 문화/ 중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보석 옥

중국인들의 옥에 대한 사랑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들은 금보다 옥을 더 소중하게 여긴다. 한 예로 왕의 도장은 금인이고 황제의 도장은 옥새다. 하지만 외국인들이 옥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외국인들이 중국미술사를 공부하면서 가장 이해하기 힘들고, 아름다움을 감별하기는 더 어렵고, 때로는 지루해서 넘겨버리는 것이 옥공예다. 그럼에도 중국의 모든 박물관 진열실에는 옥공예가 빠지지 않고 아예 옥공예실이 따로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옥공예를 기술의 정교함, 형태의 아름다움, 빛깔의 우아함, 촉감의 부드러움 등 다른 공예와 똑같은 기준에서 예술적으로 가치를 판단한다면 못할 것이 없겠지만 옥은 그 재료 자체부터 등급이 천차만별이라, 그걸 모르면 중국인들이 이해하는 옥의 가치를 쉬이 알기 어렵다. 중국에는 4대 명옥이..

일본미의 특질 와비사비

일본의 다도는 일본 고유의 문화다. 한잔의 차를 마신다는 것은 똑같지만 중국과도 다르고 한국과도 다르다. 일본의 다도는 그들의 오랜 역사 속에서 생성되고 세련되어 오늘날의 생활문화 속에 깊이 살아 있는 것으로 그 내용과 형식이 아주 독창적이고 전적으로 일본적이다. 그 결과 일본 다도는 일본정신, 일본문화, 일본미학의 핵심으로 부상했으며, 일본 다도를 모른다면 일본문화를 모르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 일본 다도의 핵심적 정신 가치가 와비사비인 것이다. 따라서 와비사비는 일본미의 특질을 말해주는 기본 개념이 되었는데, 문제는 '쓸쓸하다, 부족하다'는 의미를 지닌 이 말을 이방인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니 설명하는 것은 더 어렵다. 하지만 이 미적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면 ..

한국 정원과 일본 정원의 차이

1>가볼만한 한국의 정원 1. 궁궐 정원: 창덕궁 부용정 2.은거지 정원: 보길도 부용정, 담양 소쇄원 3.저택 정원: 성북동 성낙원, 강릉 열화당, 영양 서석지 4. 사찰 정원: 순천 선암사, 서산 개심사, 안동 봉정사 영선암 2>한국 정원과 일본 정원의 차이 한국 정원은 자연공간안에 인공적 건물이 배치되고 나무와 화단이 조성된다. 자연 속에 사람이 파묻히는 모습. 일본 정원은 자연을 재현한 인공적 공간으로 사람이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일본은 정원이고 한국은 원림이라 부른다. 한국 정원은 자연과 인공이 어울려 어디까지가 인공인지 모른다. 일본 정원은 인공과 자연이 병존하며 강한 대비감을 준다. 극명한 대비로 둘을 모두 간직하 는 것이다. 즉 한국은 되도록 인공적인 태를 감추려하는데 일본은 되려 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