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4

2015년이후, 왜 경상수지 흑자는 지속되는데 한국의 환율은 요동치나?/ 채찍효과

2015년 한국 경상수지는 사상 최대인 105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그런데도 환율은 하향 안정되지 못하 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등 요동치고 있다. 왜 그럴까? 이는 글로벌 자본이 한국 자산시장, 더 나아가 한 국 기업들의 향후 실적에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각..

경제 2016.03.18

왜 원화가치가 고평가되었는데 경상수지가 흑자일까? / 경상수지의 변동요건

원화가치가 상승(환율 하락)하면 수출이 부진해서 경상수지가 적자가 되고, 원화가치가 하락(환율 상승)하면 수출이 늘어나 경상수지가 흑자가 된다는 것이 일반인들의 상식이다. 이런 현상은 한국에서는 1997년 전까지는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부터는 둘 사이의 관계가 뒤바뀌어 ..

경제 2016.03.18

그리스 사태, 기원과 전망 그리고 구조와 본질 1편) 원인과 구조

2009년 그리스 정부는 그 해 재정적자액이 GDP의 12.7%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종전 예상액 6%의 2배 를 넘는 비율이었다. 예상을 뛰어넘는 과다한 재정적자는 그리스 재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채권은행들이 그리스에 대한 채무연장을 꺼리면서 구제금융이 불가피해졌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