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주의 2

세속주의란? 이슬람 근본주의는 왜 세속주의에 반발하나?

로마제국은 기독교를 공인했지만, 성과 속을 가리지않고 황제의 권위가 최종적이란 입장을 취했다. 왕권은 교권을 압도했고 교황은 왕권에 기대어 연명했다. 왕들은 주교 임명은 물론이고 교황의 옹립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의 영향력이 강해지자, 교회와 국가는 자주 갈등을 빚었다. 정신 영역과 물질 영역의 구분이 모호했기 때문이다. 그 선상에서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주교 임명권을 둘러싸고 신성로마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극렬하게 충돌했다. 교황은 황제를 파문했고 버티던 황제는 고립무원이 되자, 한겨울에 카노사 성문앞에 사흘동안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빌었다. 우여곡절 끝에 양측은 주교의 선임은 교회가 하되, 그 선임된 인물은 왕이 수용가능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타협했다. 이런 갈등을 ..

참된 신앙..종교..이성..세속주의/ <라틴어 수업>에서 읽은 부분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다.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너희는 신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마르코 7:7-8)"라는 탄식이 우리 시대에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혹여 우리는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