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통화정책의 종류와 특징

정암님 2015. 1. 15. 22:16

통화정책:통화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정책


통화정책의종류

1. 기준금리정책

   기준금리란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로 모든 금리의 기준점이 된다.

    가령 경기가 부진하면 중앙은행은 경기진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준금리 인하가

    시장의 흐름 자체를 뒤바꾸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기준금리는 통상 예금금리와는 쉽게 연동되지만 

    대출금리와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대출금리는 국고채금리와 은행간 단기 자본조달수단인 CD금리에 주로 연

    동된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은행은 예대마진을 높이기 위해 바로 예금금리를 내리고자하는 강한 유인을 가지지만

    중앙은행이 직접 자금조달을 해준 것이 아닌만큼 대출금리 인하는 미적거린다. 

    결과적으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간 부조화 현상이 일어나고, 이 때문에 경기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더라도 그 

    효과가 반감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시중금리는 기준금리 인하후 시차를 갖고 종국에는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스프레드가 줄어들므로 금리인하는 장기적으로 시중은행의 영업이익을 훼손시키게 된다.


2. 공개시장 조작 정책

   중앙은행이 국채와 채권등을 공개시장에서 매입하거나 매각함으로서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미국의 연방준비은행이 즐겨 사용한다.


3. 지급 준비율 정책

   은행이 총예금액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강제로 보관하도록 규제하는 정책. 이로써 시중은행들은 모든 예금액을 

   대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신용창출의 속도와 폭이 제한된다.

   중국은 지급준비율정책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한다. 이 정책은 시중 통화량 자체를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