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국 경상수지는 사상 최대인 105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그런데도 환율은 하향 안정되지 못하
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등 요동치고 있다. 왜 그럴까? 이는 글로벌 자본이 한국 자산시장, 더 나아가 한
국 기업들의 향후 실적에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각의 근저에는 채찍효과라는 이론이 있
다.
글로벌 자본들은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증가할 때, 미 달러 자산보다는 한국등 개도국 자산을 매입한다. 반
대로 선진국 경기가 나빠지면 한국등 개도국 자산을 집중 매도하고 선진국시장으로 회귀한다. 심지어 2008년
서브프라임위기시에도 한국 주식을 처분한 대신 미국 주식을 매입했다. 이는 안전자산선호경향에 따른 것도
있지만 경제적 의미로도 타당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런 모든 것들을 설명하는 이론이 채찍효과이다.
채찍효과는 소비자-소매점-도매점-제조업체-부품업체-원자재 공급업체로 이어지는 공급사슬망에서 소비
자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치 채찍의 손잡이 부위를 몇 센치만 움직여도 채찍의 끝부분은 몇 미터이상 움직이
듯, 주문 변동폭 즉 수요 변동폭이 확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2000년부터 2015년 사이 자료를 보면, 미국 산업생산 증가율은 최대 15%에서 최저 -20%사이인데 비해 한
국 수출 증가율은 최대 50%에서 최저 -30%사이를 움직여 미국의 3배에 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말은 미국의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이 1% 늘어나면, 미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2%, 그리고 한국의 수출증
가율은 5-10% 상승한다는 소리다. 이는 한국의 수출품이 몇몇 완성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반도체,철강,석
유화학제품같은 원자재 혹은 부품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 많아서 채찍의 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 상품은 공급사슬의 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채찍 효과에 의해 실적 변동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감소하면, 글로벌 자본들은 미국 기업의 실적이 나빠지는 속도보다 한국 기업의 실
적 악화 속도가 휠씬 빠를 것으로 예상하고 한국에서 돈을 빼서 미국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다. 이 와중에서
경상수지 흑자와 상관없이 한국의 환율이 요동을 치는 것이다.
채찍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먼저 수요의 왜곡이 있다.
소비자의 주문이 몰리면 소매점은 더 많은 양을 주문한다. 왜냐하면 재고가 적정수준을 하회했고, 상위 공급
단위는 한정된 물량을 더 많은 양을 주문하는 업체에게 우선 배분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공급단위의 각
업체들은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주문을 경쟁적으로 해서 수요를 극도로 왜곡한다.
둘째는 소비자에게서 멀어질수록 대량주문방식을 필요로 하는데 있다.
가령 소비자는 한두 개 단위로 구입하지만, 소매점은 박스단위로 주문한다. 그러면 도매점은 공장에 트럭 단
위로 주문한다. 이처럼 공급단위의 끝으로 갈수록 기본주문단위가 커진다. 하지만 주문단위가 커질수록 재고
량이 증가하게 되고 재고량 증가는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주문 발주에서 도착까지 발주 실행시간에 의한 시차가 있다.
물건을 주문했다고 바로 도착하지 않는다. 물류이동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각 공급사슬 단위
의 발주 시간이 저마다 다르다는 데 있다. 즉 공급사슬의 끝으로 갈수록 물류 이동 시간이 증가한다. 그리고
이처럼 발주시간이 길어지면 그에 대응해 주문량이 많아지고 이는 재고량 증가로 이어진다.
채찍효과는 재고량과 연관이 있다. 소비자가 지출을 할 때, 각 공급단위들은 수요이상의 주문을 해서 재고를
비축하지만, 수요가 감소하면 공급사슬의 끝에 위치한 업체들은 하급 단위들의 재고가 적정단위 이하로 떨어
질 때까지 주문량 감소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공급사슬의 끝으로 갈수록 기업실적 변동성이 커진다.
발췌, 요약)
1. 환율의 미래/ 홍춘욱 지음/ 에이지 출판
: 환율에 관심있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형 양적완화, 시중의 돈 흐름 바꿔 산업은행에 빌려주는 셈 (0) | 2016.04.18 |
---|---|
[스크랩] 기업분석 재무재표 대차대조표 보는 방법 (0) | 2016.04.03 |
왜 원화가치가 고평가되었는데 경상수지가 흑자일까? / 경상수지의 변동요건 (0) | 2016.03.18 |
한국 경제 시스템이 맞닥뜨릴 10대 위기 (0) | 2016.02.24 |
행동 경제학, 그리고 행동경제학이 말하는 인간들의 비합리적 경제 행위들 (0) | 2016.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