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바라보는 한반도의 지정 가치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서 중국이 부상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 봉쇄망은 이 대륙에 직접 발을 붙이기 보다 주로 환태평양 도서 지역을 따라 전개된다. 예외가 있다. 한국이다. 한국은 유라시아 대륙 동반부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갖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있는 반.. 현대 국제정치 시사/한반도와 동북아정세 2019.02.02
중국 변경의 지정 가치 4/ 대만 해양 진출을 모색하는 중국에게 최대 전략 요충지는 대만이다. 대만은 중국에게 하나의 중국을 확인하는 정치적 의미가 있을뿐만 아니라 중국의 안보와 해양 진출을 가름하는 곳이다. 중국에게 대만은 해양대국으로 웅비하는 데 있어 반드시 취해야 할 대상이다. 미국이 일본 본토에서 .. 현대 국제정치 시사/중국의 정세 2019.02.02
중국의 지정학 2 : 대륙의 패권을 장악해라/ 서출북화 현재 중국은 14개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 14개 국가들이 중국을 남, 북, 서쪽에서 감싸고 있다. 이들 중에서 건국 이래 중국과 항구적 우호관계를 지켜온 나라는 북한뿐이다. 중국은 접경국가들로 지속적으로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있으나, 이 국가들과는 역사적으로 갈등관.. 현대 국제정치 시사/한반도와 동북아정세 2019.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