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2

2024년 한국 경제에 대위기가 온다.

2024년 한국 경제에 대위기가 온다. 향후 한국 경제의 소비 추이를 전망해 보면, 2024년에 소비 협곡에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협곡이란 향후 10년 이내에 가장 큰 폭의 소비 위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를 말한다. 그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비 주축 계층인 40대 후반 연령대의 급감. 40대 중후반(45~49세)은 개인의 생애 주기로 볼 때 평균적으로 돈을 가장 많이 쓰는 시기다. 인구 경제학자 해리 덴트는 2015년 '인구 절벽'이란 개념을 제시했다. '인구 절벽'은 한 나라에서 40대 중후반 연령대의 인구가 줄기 시작하는 때이다. 그는 인구 절벽이후부터 내수 소비가 정점을 지나고 경제는 하강하기 시작한다고 했다. 이를 한국에 적용하면, 한국은 1971년생이 가장 많으므로..

경제 2021.03.28

왜 박쥐는 수많은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었나?

2002년, 2015년, 2019년에 유행한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와 2016년 서아프리카에 출현해 수많은 사망자를 낸 에볼라 바이러스는 박쥐를 숙주로 삼아 증식하다 인간에게 넘어온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광견병 바이러스도 박쥐가 숙주였다. 이처럼 박쥐는 많은 인수공통감염병 바이러스의 숙주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확률적으로 볼때 특이한 현상은 아니라고 말한다. 박쥐가 바이러스의 숙주로 당연시 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1. 박쥐의 종류와 숫자가 놀랄 만큼 많다 지금까지 발견된 박쥐는 1000여 종에 달한다. 이는 전체 포유류 종의 약 20%를 차지한다. 이처럼 전체 포유류 중 박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에, 그만큼 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가능성도 높은 것이다. ..

과학이야기 2021.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