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중국사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친 중국사상의 두 머리: 유가 그리고 또 하나는?

정암님 2014. 3. 23. 03:14

동아시아에 미친 중국사상의 영향은 거대하다. 그중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유가사상이다.

그리고 유가만큼이나 동아시아인의 사고관에 영향을 미친 사상이 또 하나 있다. 병가사상이다.

 

중국인들의 사고관중 하나로 흔히 전략적 사고관을 꼽는다. 이는 병가가 그들의 삶에 드리운 그림

가 얼마나  넓고 깊은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중국문명의 발상지인 황토고원은 농작물이 잘 자랐다. 그들은 그 생산물을 바탕으로 문명을 일구었

다. 하지만  장성밖 북쪽에는 그 생산물을 호시탐탐 노리는 유목민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배고프

고 추위에 떨었다.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찌는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

추수가 끝나기 무섭게 전방의 북소리는 가이없이 울려펴졌고 봉화불은 꺼질 줄을 몰랐다. 

전쟁은 끊이지 않았다. 유목민들은 수시로 장성을 넘었고, 그 때마다 정착민들은 피를 흘려야다.

이런 환경속에서 수많은 병법서와 역사서가 나타났고, 그것이 오늘날 중국인들의 멘탈인프라를

형성했다.

춘추전국시대 이미 손자,오자병법이 출현했고, 그 이후에도 수많은 전술,전략들이 개발되어 사용되

었다. 이들은 때마다 정리되어 책으로 나왔고, 그 중 손자병법,오자병법,사마법,위료자,이위공문대,

육도,삼략은 무경칠서로 묶여 병법서의 백미로 취급되었다.

무경칠서는 이웃나라로도 퍼져 조선은 무과의 필수과목으로 채택했다.

전근대사회의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일중 하나가 전쟁이다. 따라서 문관도 기본적인 전략,전술을

익혀야 했고, 그래서 병서는 그들에게도 즐겨 읽혀졌다.

이런 독서는 읽는 이들에게 알게 모르게 전략적 가치관을 주입시키게 되고, 결국 통치와 관리면에

전략적 사고를 하게 만든다. 이런 관습이 중국에서는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져  작금의 중국공산

당의 대내외 정책수립에 있어서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순망치한이라는 고사가 있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말로 오늘날 중국 대북외교의 기본틀

이다. 즉 중국의 입장에서는 북한이 사라지면 미국, 일본,한국등과 직접 접촉하게 되니,가급적 북

한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또 중국 대외정책의 기본틀이었던 도광양회도 있다.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지 않고 힘을 기르며 기

다린다는 의미로  대외적으로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내부적으로 국력을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요즘은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에 걸맞는 역활을 하겠다는 대국굴기를 새로운 대외정책의 틀

로 내세운다.

반면 요즘 한국인들은 전략적 사고가 떨어지고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신자유주의하에서 고용구조의 불안정과 성과급제가 장기적 이익보다 당장의 단기적 성과를 우선

시하는 풍조를 일군 것도 그 원인중 하나다. 

 

폭넓은 독서를 통해서 전략적 사고를 키워야 한다. 역사서와 병서는 이런 시각을 키우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지금도 많은 장군,정치가,기업인들이 가까운 곳에 전략서를 두고 읽고 또 읽고 있다.

 

중국인들의 전략적 사고 형태는 세대를 거치면서, 개인적 처세의 지침으로 때로는 국가운영의 철

자 중국패권주의의 주춧돌로서 긴 생명력을 이어왔다. 이 것은 분명 중국인들의 경쟁우위임

분명다. 중국인들과의 접촉하기 전에, 그들의 이런 사고방식을 미리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