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중국사

왜 1946년 국공내전에서, 양군은 만주를 놓고 치열하게 싸울수 밖에 없었나?

정암님 2015. 3. 28. 12:50


   동북(만주)은 우리 당과 중국 혁명의 최근 변화상으로 보았을 때 특별히 중요한 곳이다. 만약에 우리가 모든 근거지를

   다 잃는다 해도 동북만 있으면 중국혁명의 기초는 견고한 것이다. 물론 다른 근거지도 잃지 않고 동북도 있다면 중국

   혁명의 기초는 더욱 더 공고해질 것이다. (마오쩌둥, 1945년 6월)


   우리가 동북을 탈취하지 않으면 중국은 근대 산업화된 국가로 발전하기 힘들다. (장제스)


1946년 벌어진 국공내전에서 국민,공산 양군은 만주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웠다. 하지만 1948년 9월부터 10월

까지 벌어진 랴오선 전역에서, 린뱌오가 이끄는 공산군이 국민군의 주력을 격파하고 선양, 창춘등 주요 도시를 장악

함으로써, 팽팽하던 양측의  균형이 무너지며 공산군이 승기를 잡았다.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했을 때, 국공 양측의 전략가들이 가장 주목한 곳은 만주였다. 

만주는 당시 중국 그 어느 곳보다도 전략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일제는 만몽생명선 이론에 따라 만주를 병참 보급기지로 개발했다. 그에 따라 만주에는 대규모 공업지대와 발전설비, 

인프라망들이 들어섰다. 일제가 중국에 남긴 자산은 전체 해외 자산의 74%에 해당되는 175억 달러정도인데, 그중 

3분의 2가 만주에 있었을 정도로 일본의 투자가 집중됐다. 또한 지대가 평활하고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교통의 요지

였다.


만주는 중국 전체에서 면적은 11.5%, 인구는 8%에 불과했지만, 콩생산량은 전국의 70%, 산림 면적은 37%, 중공업은

90%를 차지했다. 석탄 생산량은 36%, 석유 생산량은 93%, 철도망은 41%, 금광은 50%에 달했다.

해외 수출은 37% 비중을 보였고, 선철 생산은 본토의 8.5배, 전력 생산은 2.5배에 달하는 등 만주의 근대 중공업은 본

에 비해 압도적이었다. 


더구나 전쟁 피해도 거의 입지 않아서, 철도망은 대부분 건재했으며, 석탄, 철강, 자동차, 전력 생산등은 중일전쟁 

전보다 생산량이 늘어나 있었다.


전략적으로는 사통팔달의 교통 요지인데다 철도망이 잘 구비되어 있고, 소련과 인접하여 교역이 활발했다.


이런 상태이니, 오랜 전쟁과 극심한 인플레, 원료 부족으로 철저하게 망가져 버린 본토를 복구하기 위해서라도 만주는

국공 양측이 반드시 손에 넣어야 하는 사활적 지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