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제정치 시사/현대 국제정치의 배경지식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어떻게 구분하나?

정암님 2015. 9. 30. 13:28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는 정확히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시기마다, 지역마다, 개인마다 이 어휘들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만큼 서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적절한 구분방법을 추려보면 크게 세가지 관점에서 차이가 있

다. 


첫째, 혁명의 주체가 누구인가? 즉 누가 사회를 바꿀수 있는 집단인가?

이 관점에서는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자 중심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주체를 노동자 자신

로 보는 입장을 공산주의라 한다. 반면 노동자는 그럴 능력이 없으므로 엘리트 계급 내지 부르조와들이 

스스로의 권리를 내려놓고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해나가야 한다는 입장은 사회주의라고 부른다.


둘째, 수단과 목적의 관계로 구분하는 경우

궁극적 목표인 공산주의 사회는 노동자가 생산수단을 공유하기 때문에, 지배 피지배 관계가 소멸된 사

회다. 하지만 자본주의에서 갑자기 노동자 중심의 공산주의 사회로 급격히 변화할 수는 없다. 이는 소수 

자본가의 저항과 노동자, 농민층의 의식이 아직 낮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행기를 소수의 

치엘리트들이 국가와 정부를 대리해서 운영하는 체제가 필요한데, 이 체제를 프롤레타리아 독재 혹

은 사회주의라고 부른다. 여기서 독재는 다수 노동자가 소수 자본가를 억압하는 것을 말한다.

이 관점은 공산주의를 궁극의 목표로, 과도기 사회를 사회주의로 설정하여 두 체제를 구분한다.


셋째, 내포의 관계로 보는 경우

사회주의를 국가가 주도하는 계획경제라는 넓은 개념으로 파악하고, 그중에서 노동자에 의한 계획경

를 공산주의라 칭한다. 즉 공산주의를 사회주의에 포함되는 좁은 개념으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주의는 조금 더 온건한 방식으로 사회를 개혁한다는 의미로, 공산주의는 급진적이고 

접적인 방식으로 사회혁명을 꿈꾼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둘다 정부 개입에 의한, 국가 주도

의 경제발전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발췌,요약)

1.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편/ 채사장 지음/ 한빛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