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헤지펀드 vs 사모펀드

정암님 2016. 4. 21. 21:12


1. 헤지펀드

일반적으로 1백명 미만의 고액 투자가(미국은 보통 1백만 달러이상)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운

영하는 일종의 사모펀드로 조세회피지역에 위장 거점을 두고 시장 상황에 개의치 않고 절대 

수익을 추구하지만 투기적 투자가 많아 높은 위험을 감수할 때가 많다.

외환, 상품, 주식, 채권등 투자 대상을 가리지 않고, 원칙적으로 투자지역 및 투자자산 구성에

도 제한이 없다.

수익 극대화를 위해 자금차입과 공매도 기법을 적극 활용.

연간 운용 보수는 물론 높은 비율의 성과보수를 펀드 매니저에게 지급. 일반적으로 수익이 

건 안나건 매년 2%를 고정 수수료로 받고, 이익의 최소 20%를 성과 보수로 받음. 유명 헤지

펀드일수록 이 비율은 높아진다.

펀드 매니저가 자신이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 가능. 투자자들은 이런 펀드를 더 신뢰한다.

언제든지 투자와 환매가 가능한 공개 펀드와 달리, 투자자들은 정해진 때에만 투자지분을 상

환받을 수 있다.

1990년 610개에서 2014년 1만개 이상으로 증가, 운영자금은 3조 달러에 이름.

뮤추얼펀드같은 전통적 장기펀드와 달리 단기차익을 노림, 따라서 투기적 형태를 보임.


2. 사모펀드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해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을 사들여 기업가치를 높인 다음 되파

는 방식으로 수익창출. 투자기간이 중장기적인 경우가 많다.

공모펀드와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다. 가령 공모펀드는 펀드 규모의 10% 이상을 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수 없는 등 제한이 있다. 그러나 사모펀드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이익이 발생할 만한 어떠한 투자 대상에도 무제한 투자 가능.

2006년 기준 세계 사모펀드는 7천억 달러 수준, 이중 60%이상이 은행 차입금이다.



            춭처/ 네이버 지식인, 꿈꾸는 학(aprilok)


참고)

월가 이야기/ 홍익희 지음/ 한스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