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는 여러 학파와 투쟁을 거치면서 중국사회의 주류가 되었다.
원래 사상이란 태어날때 그대로의 고정불변한 것은 없다. 사상은 살아있는 유기체다. 끊임없는
외적 자극과 내적 갈등을 겪으면서 변화해 간다. 그래서 사상은 상호모순적이고 그래서 포용적
이다.
어떤 시대가, 특정 환경이 사상의 한 부분을 필요로 하고, 그것으로 권력을 잡은 자들은 사상을
박제화시켜 기득권을 유지하려 든다. 사회모순이 깊어질 때, 선각자들은 사상의 다른면을 고찰
해서 새로운 시대상을 제시한다. 사회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을때, 그사회는 멸망하고 아예
새로운 사상으로 대치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잊혀진 사상은 죽지않고, 자기를 필요로 하는
시대가 올때까지 어두운 심연에서 묵묵히 기다리고 있다.
유가는 동양에서 이런 길을 걸어왔다. 지금도 봉건사상의 대명사로, 근대화의 적으로 기억하는
자들이 많지만, 2500년을 지배해 온 유가사상의 내면을 대략적으로라도 알고 있는 자가 얼마나
있을까...
유가사상사를 쓰기 전에, 먼저 유가와 여러 사상들과의 충돌점을 보여주고 시작하겠다. 이는
읽는 이들에게 유가사상의 대략적 모습을 상기시켜 주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1.도가 대 유가
도가는 유가를 도덕으로 인간의 자연스런 모습을 구속한다고 비난했다. 유가는 도가가 무를
주장하여 사회질서를 무력화한다고 맞받었다. 여기서 대비되는 유가상은 도덕주의다.
도가의 무사상에 유가의 유사상의 대치다.
2.묵가,양주 대 유가
묵가는 만인을 평등하게 사랑하는 겸애를 주장했지만, 유가는 이를 아비를 부정하는 것이라
고 비난했다, 즉 유가는 가족을 중심으로 친소의 차별적 사랑을 주장했다. 양주는 철저한 개
인주의를 주장했지만, 유가는 이를 임금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공격했다.
여기서 유가는 가족주의를 보여준다.
3 법가 대 유가
두파는 상하질서의 유지에는 동감하지만, 법가는 법의 절대성을 주장하며, 도덕이 법의 절대
적 권위를 침범하는 것을 경계한다. 법아래서는 신하는 군주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한다. 유가
는 도덕을 더 중시하며, 군주를 항상 경계하고 간언을 서슴지 않는다.
즉 유가는 군주와의 쌍방향성을, 법가는 군주로부터 내려오는 일방향성을 따른다. 이는 덕치
주의 대 법치주의로 표현된다. 여기서 법치주의는 덕을 빙자한 자의적 통치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일뿐, 민초의 자주성은 인정되지 않으므로 현대 법치주의와 전혀 다르다.
법가와 대비해, 유가는 국가에 대한 가족의 우위,개인의 도덕적 자립, 군주와 신하사이의 상
호 견제를 주장한다.
4 불교대 유교
유교가 불교를 비판하는 논점은 크게 세가지다.
1. 불교는 도덕과 질서를 무시한다. 2.불교는 오랑캐의 사상이어서 중국문화와 가치관에 배치
된다. 3.불교는 영혼불멸을 주장한다.
이중에서 비판이 집중되는 곳은 1번이다. 여기서 부상하는 측면은 도덕주의와 현세중심주의다.
이것은 불교의 허사상에 대한 유교의 실사상의 대립이다.
5. 서구 근대사상과 유교
서구근대사상의 자유,평등주의에 대비해, 유교는 반자유,반평등으로 비난받는다. 여기에 대
해 유교는 공동체주의로서 재평가되고 있다.
참고) 유교를 아십니까 /츠치다 켄지로 지음/그물
'역사 > 종교,철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위일체설의 기원을 찾아서)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 (0) | 2014.01.24 |
---|---|
보살사상의 종교적 의미 (0) | 2014.01.23 |
게으름(나태)은 어떻게 가장 나쁜 덕목이 되었나? (0) | 2013.06.17 |
[스크랩] 성학십도 (0) | 2013.05.25 |
동양사상사 공부...어떤 책을 보는것이 좋을까? (0) | 201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