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3년 영국이 노예제를 폐지하고, 1863년 미국이 노예해방을 선언하는등 노예노동은 사라져 갔다.
이에 따라 자본가들은 노예노동을 대치하는 저렴한 노동력을 찾게 되었고, 그들의 눈에 들어온 것은 중국인들
이었다.
중국의 인구는 1800년경 약 3억 명이었는데 1850년경에는 4억명을 넘어서고 있었다. 이는 당대 유럽 전체 인
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숫자였다. 하지만 인구가 늘어난만큼 먹고 살기는 더 힘들어졌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의 난으로 중국 전역이 황폐화되어 막노동꾼조차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었다.
반면 영국,프랑스등 열강은 식민지를 확대하면서 그곳의 자원 착취와 플랜테이션 농장 및 공장 운영, 철도,도로
부설등에 투입할 막대한 노동력이 필요했다. 이 인력은 저렴한 임금에 무한대의 인구가 있는 인도와 중국에서
조달되었는데, 그 중에서 부지런한 중국인들이 선호되었다.
중국인들은 일자리를 따라 고국을 버리고 외국으로 가 노동력을 팔았다. 대부분 막노동꾼이었던 이들은 쿠리
(苦力)라 불렸는데 '힘든 일 하는 노동자'란 뜻의 힌두어 쿨리를 중국어 한자로 음차한 말이다.
1819년 영국 동인도회사가 싱가포르를 국제무역항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자, 수만명의 남중국 출신 쿠리들이
몰려와서 노동력을 팔았고, 이후 싱가포르는 현재 인구의 77%가 중국계일만큼 중국인의 국가가 되었다.
말레이지아에서 영국은 대대적인 주석 광산 개발을 추진했고 지금의 쿠알라룸푸르(진흙탕으로 된 강어귀란
뜻)로 중국인 쿠리 수천명을 데려와 광산 일을 시켰다. 이들은 이후 말레이지아의 경제권을 장악하게 된다.
1850년 믈라카 개발에도 영국은 일만명의 중국인을 불러들였다. 네덜란드 역시 수마트라를 정복하고 이곳에
사탕수수, 담배 등을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장을 경영하기 위해, 쿠리 수만 명을 데려와 노동을 시켰는데
1900년경에는 그 수가 50만 명을 넘어서고 있었다.
중국인 쿠리는 동남아뿐 아니라 미국,캐나다,호주, 쿠바,페루,화와이 등지의 농장과 광산에도 열악한 조건으
로 건너갔다. 페루에서는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며 1만 명의 쿠리가 하루 12시간의 노동에 시달렸다.
1848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발견되고,1869년 대륙횡단 철도가 건설되기 시작하자, 중국인 쿠리들의
대규모 미국 이민이 시작되었다. 미국과 캐나다의 대륙횡단 철도는 이들 중국인 노동자들의 피땀이 없었다면
건설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동화를 거부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고집해 백인사회와 갈등과 충
돌을 빚었고, 이는 1882년 중국 노동자들의 미국 시민권 취득을 금지하는 조치를 유발시켰다.
많은 시련과 어려움 속에서도, 중국인들은 정체성을 지키면서 각지에서 뿌리를 내렸고 이제 전 세계에 1억 명
에 이르는 화교 네트웍을 구성해 중국 본토와 중화경제권을 이뤄 세계 경제에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19세기 이래 식민 제국주의의 필요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팔려나간 중국인 노동자들이 오늘날 세계적인 화교
경제권의 모태가 되리라는 것을, 그 당시에는 중국인 자신은 물론이고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발췌)
먼 나라 이웃나라 중국편1/ 이원복 글 그림/ 김영사/2017년 간
'역사 >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위 행위 탄압의 역사 (0) | 2018.02.26 |
---|---|
소련시절 유행했던 농담 (0) | 2018.02.25 |
왜 미국에서 메리 크리스마스라는 말이 사라졌나? (0) | 2016.01.30 |
왜 일제는 대본영 참모들을 통제하지 못했나? (0) | 2015.01.30 |
일본 제국 육군의 <만주-몽고 생명선>이론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