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는 어떻게 발견되었나? 지난 100년간 삼국유사를 소재로 한 논저가 3000편이 넘는다. 시중에는 삼국유사를 소재로 한 책의 가짓수가 370여종이며, 이는 삼국사기 200여종, 가장 인기있는 춘향전의 250여종보다 압도적이다. 그리스로마신화가 370여종으로 필적할 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착각을 한다. 민족의 고전 삼국.. 역사/한국사 2013.07.23
어느 조선청년의 소망: 6.10만세운동은 어떻게 일어났나? 이척(순종)이 죽었다. 일본경찰은 아연 긴장하기 시작했다. 이희(고종)의 장례일에 3.1만세운동이 일어난 것이 불과 7년전이었다.그 여파로 조선총독까지 경질됐다. 또다시 만세운동이 일어나지 말란 법이 없었다. 이척의 장례일이 6월10일로 결정되자, 경찰은 비상 근무체제에 들어갔다. .. 역사/한국사 2013.07.03
조선조 최대의 생활혁명: 입식에서 좌식문화로 17세기, 조선조 최대의 생활혁명이 일어났다. 그것은 입식에서 좌식문화로의 전환이었다. 오늘날 우리들은 일상에서 앉아서 생활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좌식 문화). 하지만 그런 생활이 보편화 된것은 고작 300여년일 뿐이다. 그전에는 서구나 중국처럼 서서 생활하는 문화였다(입식 문.. 역사/한국사 2013.06.25
해품달을 보다가)부마의 핸디캡 조선시대, 왕의 딸과 결혼하는 사람을 부마(정식명칭:부마도위)라고 불렀다. 하지만 부마는 살아 가는데 제약이 많았다.모두 공주(옹주)와 결혼한 덕분이다. 1.부인이 살아 있을 때는 첩을 둘수 없었다. (부마 왈:우라질,왜 하필 나만....ㅠ.ㅠ) 2.부인이 죽었을 때는 재혼을 할수 없.. 역사/한국사 2012.02.17
조선풍속사)조선시대사람들은 대식가(大食家)였다. 조선시대사람들은 많이 먹었다.그 습관은 외국까지 알려졌다. 이익은 우리나라사람들이 먹는것은 천하제일이라며 이는 유구(오키나와)에도 소문이 났으며, 부귀한 집은 하루에 일곱번도 먹는다고 비판했다.19세기말 선교사 달레는 조선사람들의 가장 큰 결점은 대식이라며 그들.. 역사/한국사 2011.12.18
조선풍속사) 조선은 흰색옷을 입는것을 금지했었다 흔히 우리민족을 백의민족이라 하지만,우리의 상식과는 달리 흰색의 사용은 금지되었다. 이 금지령은 고려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왜 흰색은 오랫동안 금지되었을까? 먼저 오행사상과 관련해서다.우리나라는 동방에 위치한다.동방은 오행으로 나무이다. 흰색은 오행.. 역사/한국사 2011.12.18
소론의 영수 윤증:붕당정치의 파국을 막고 사림의 이상을 지키려 했지만... 윤증 초상화 1680년(숙종 6년) 피바람이 불었다 남인정권이 무너지고 숱한 남인대신들이 사약을 받거나 귀양을 갔다.그 이후 신하들은 상대당파를 모두 도륙하지 않고는 베개를 베고 편히 잠들지를 못했다. 피가 피를 부르고 원한이 원한을 낳았다.누가 조정을 이렇게 만들었는가? .. 역사/한국사 2011.11.09
요하문명-우리민족문명의 기원 등소평의 개혁개방정책이후 중국의 성장은 눈부셨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 되었고 이제 미국과 어깨를 겨루는 나라가 되었다 중국민의 자부심은 하늘을 찔렀다 반면 고도성장으로 인한 빈부차,지방간의 성장격차는 깊어가는 환부였다 타개책은 중화민족주의고양이었다 대대적인 역사수정작업이 벌.. 역사/한국사 2010.07.11
학봉김성일을 위한 변명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3년전, 조선에 잔혹한 피바람이 불었다 정여립사건이다 옥사는 3년간 계속되었고 서인의 무고와 날조로 죽어간 사람들이 무려 천여명이었다 이는 4대사화의 희생자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숫자였으니, 참상은 눈을 뜨고는 바라보지 못할 정도였다 모두가 침묵할때, 오직 .. 역사/한국사 2009.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