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근세사) 동족마을의 형성과 문중서원의 난립 17세기 당쟁의 여파로 많은 서원들이 난립하면서 사회적 폐단을 일으키자, 영조는 180여 개의 서원을 허물고 이 후 나라의 허락을 얻지 않은 서원의 신설 금지, 추향 금지, 사액 억제라는 강경한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정조 이래 법이 완화되자, 유림들은 여러가지 구실을 붙여 서원건립.. 역사/한국사 2016.01.01
조선시대 서원의 지출/ 어디다 돈을 썼을까? 현존하는 서원회계자료들을 보면, 서원들은 수입의 대부분을 통상적인 제례와 교육을 위해 사용했다. 거기에 다 서책, 등유, 장염등 일상적인 비품과 소모품을 구입하고 원임(서원 운영진)들의 삭료,주식비,예물비, 유생들 에게 부의, 타 서원과 향교에 부조, 유회개최에 따른 비용등이 .. 역사/한국사 2015.12.31
조선시대 서원의 기능/ 서원에서 무엇을 했나? 조선시대 서원의 기능은 크게보면 제례(향사)와 교육이었다. 이외에도 서원은 지역 유림들이 모여 향촌과 나라일 을 논의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장소였으며, 도서를 간행하고 보관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우선 서원의 양대 기능인 제례와 교육을 좀더 세밀하게 살펴보자. 1.서원의 제례기.. 역사/한국사 2015.12.30
조선시대 서원의 수입/ 어디서 얼마나 벌었나 조선시대 서원의 경제기반으로 보통 서원전과 노비를 들고 있다. 면세,면역의 특권을 기반으로 서원들은 각지에 거대한 농장과 토지, 많은 노비들을 거느리고 있었던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 해당되는 서원 들은 초기에 생겨난, 혹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서원에 국한된.. 역사/한국사 2015.12.29
향교의 정원과 조선후기 향교 교생명칭의 변화 향교 교생의 정원은 관부의 격에 따라 차등을 두었다. 교생은 군역면제 특전이 주어졌는데, 너무 많으면 군역 운영에 지장이 많으므로 성종대에 부, 대도호부, 목은 각 90명, 도호부는 70명, 군은 50명, 현은 30명으로 확정했고, 조선말기 까지 변동이 없었다. 교생은 평민이상이면 모두 가능.. 역사/한국사 2015.12.29
조선시대 설립된 서원 수는 얼마나 되나? "진실로 백성을 해치는 자가 있다면,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더라도, 용서하지 않겠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을 제사지내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도둑의 소굴이 되었 으니 무엇을 더 말하겠는가." 고종2년(1865년) 대원군은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던 대표적인 서원인 만.. 역사/한국사 2015.12.28
구한말, 일본군과 조선의병 사이의 전투 전과는? 일제가 조선병합의 야욕을 드러내자, 조선인들은 의병을 결성하여 맞서 싸웠다. 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해간 을사늑약에 항거해 일어난 을사의병, 1907년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에 맞서 일어난 정미의병을 거쳐 1910년대 한일병합시기까지 의병항쟁은 끊어질 줄 몰랐다. 하지만 일.. 역사/한국사 2015.11.23
18세기 후반 조선에서, 지식인이라면 갖추었던 4대 필수서적은? 1. 상례비요(喪禮備要) :상례에 관한 초보적 지침서 2. 삼운성휘(三韻聲彙) : 운서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시부는 교양이었는데, 시부를 잘 짓기 위해서는 한자의 운을 알아야 했다. 즉 시행의 동일한 위치에 음조가 비슷한 글자를 규칙적으로 사용했는데, 이 글자들을 운韻이라 했다. 한자의.. 역사/한국사 2015.11.04
조선조 유생들의 집단상소인 유소는 어떻게 조직됐나? 조선은 공론정치를 표방했다. 공론정치란 유림의 여론을 따라 국정을 운영해 나가는 정치를 말한다. 사림이 권력을 장악한 16세기이후, 조선은 왕권과 신권, 언관권이 비교적 균형을 이루는 정치구조를 만들었다. 국왕이나 신하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함.. 역사/한국사 2015.10.13
사림파는 공론정치(사림정치)를 어떻게 만들고 지켜왔는가? 조선조 사림파가 추구했던 정치는 공론정치였다. 공론 정치란 유림의 공론에 따라 정치와 사회를 운영하자는 것이었다. 조선조 성종시기, 사림파가 정계에 진출한 이래 그들은 공론정치를 실현시키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경주했다. 공론정치는 언론,사정기관인 삼사, 즉 사헌부,사간원,.. 역사/한국사 2015.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