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이정청이 내놓은 삼정이정책 19세기는 탐학이 풍습인 시대였다. 수령과 아전이 강도인 시대였다. 이에 맞서 도처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조정은 농민 항쟁의 원인이 삼정 문란에 있다고 판단하고 조세 문제 논의를 위한 기구인 삼정이정청을 설치했다. 이어 약 3개월간 전국에서 삼정을 바로잡 기 위한 개혁안을 모집.. 역사/한국사 2018.05.09
예송논쟁/ 조선에서 예론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 김장생과 송시열로 이어지는 서인산림은 주자학에서 강조하는 보편원리를 중시했다. 주자의 <가례>는 의리와 예법의 일반원칙이었으므로 기본적으로 왕실도 적용대상이었다. 송시열은 장유라는 보편원칙앞에는 왕실도 예외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체이부정을 끝까지 포기하.. 역사/한국사 2018.05.03
목포집, 부산집 상호는 어디서 유래했나?/ 경강상인의 역사 독점권에 의지하여 서울 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시전 상인들은 점차 도전자들의 거센 공격을 받았다. 특히 한강연변에서 상장한 경강상인들은 서울 도성안의 중소상인, 외곽의 장시, 지방 상인들과 결탁해 18세기 후반에는 시전 상인을 밀어내고 마침내 서울의 상품 유통권을 장악했다. .. 역사/한국사 2018.04.28
南面 (남면) 왕은 南面(남면)하고 신하는 북면한다. 왕은 조당에서 남쪽을 향해 앉았고 제왕학/통치술은 남면술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남면이란 단어는 왕을 상징했다. 남면은 어떻게 이런 의미를 띠게 되었을까? 남면은 우주론적 배치에 입각해 정립되었다. 왕이 앉아 있는 곳은 천하의 중심이고. 이.. 역사/한국사 2018.03.31
조선조 선비들의 풍광 감상법 조선조 선비들은 산수 자연을 즐기되 꽃 하나, 나무 하나에 관심을 갖거나 근경에 집착하지 않 고 원경을 관조했다. 부분보다 전체를 관조하는 이런 태도는내심과 외경이 일체된 경지를 추 구하려는 마음때문이었다. 다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여창의 후손 정환필이 남계서.. 역사/한국사 2018.03.05
사당의 방위/ 조선인들은 사당을 어느 쪽에 세웠나? 예는 유교의 실천윤리이고, 예의 근원은 제사였다. 예는 제사의례만이 아니라, 제사의례를 행하는 곳인 사당 건물의 위치와 향배, 내부 감실의 위치와 위폐의 배치 순서 등 공간적 질서에 의해서도 구현되었다. 사당의 위치와 향배 사당은 대개 북쪽에 터를 잡고 남향했으며 , 경사지인 .. 역사/한국사 2018.03.05
동입서출(東入西出)/ 중세 조선인들의 방위관 왕릉이나 서원의 삼문 안내판을 보면 동입서출을 하라고 쓰여 있다. 대개 동입서출을 동쪽(오른쪽)으로 들어가고 서쪽(왼쪽)으로 나온다고 풀이하는 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유교 전통사회에서 입入, 출出개념은 내, 외의 경우처럼 특정 공간의 주체를 중심으로 정의된다. 왕릉의 경우 .. 역사/한국사 2018.03.05
근기남인은 누구인가? / 근기남인의 형성과 특징 남인은 선조대에 동인에서 갈라져 나왔다. 당시 남인은 이황의 문인을 중심으로 결집해 있었다. 이후 남인은 경상 지방을 근거지로 하는 영남 남인과 중앙에서 벼슬을 하며 생활 근거지를 서울 주변 경기 일대로 옮긴 근기남인으로 분화되었다. 숙종 20년(1694) 갑술환국으로 남인은 정계.. 역사/한국사 2018.02.10
조선의 산림, 그들은 누구인가? 산림은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사의 준말로 재야의 덕망과 학식이 높은 선비를 말한다. 산림은 비록 초야에 은거하고 있었지만 정국의 동향에 무관심하지 않았다. 때로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정치의 옳고 그름을 예리하게 비판하기 도 했다. 그들의 뒤에는 강력한 문인기반이 .. 역사/한국사 2018.02.05
영.정조 문예부흥기의 미술사적 특징 1.진경산수화, 풍속화, 문인화라는 새로운 3대 장르의 출현 : 중국화풍에 무의식적으로 매몰됐던 화풍에서 우리 산수의 아름다움을 그린 진경산수 현실 생활상을 묘사한 풍속화 회화미의 진수를 담아낸 문인화풍의 안착 2.영조시대 그림에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예술적 고뇌가 서린 내.. 역사/한국사 201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