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정의란 무엇인가」 현상을 다시 생각해보면 2010년에 한국을 뜨겁게 달군 책이 하나 있다.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원제: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라는 책이다. 이 책은 인문학 서적의 불모지 한국에서 무려 130만부를 넘게 판매했다. 이 책은 미국에서 10만부 정도가 팔렸고, 인문학 서적이 매우 잘 팔리는 일본에서도.. 책을 읽고 (서평) 2014.11.26
책을 읽고)사찰의 상징세계 사찰의 상징세계(상,하) /자현 지음 /불광출판사 /320 페이지 /2012년 초판인쇄 절집은 상징과 장엄으로 도배되어 있었다. 입구인 일주문에서 구석진 곳에 위치한 조그만 전각까지 절집은 많은 이야기를 안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에게 끊임없이 이야기를 걸어왔다. 하지만 소통이란 말하는.. 책을 읽고 (서평) 2013.09.21
책 추천)뉴턴 하이라이트 시리즈 : 현대자연과학이 이룬 금자탑들 학생시절에 도서관에 가서 즐겨보던 과학잡지들이 있었다. 하나는 월간 뉴턴이고 다른하나는 과학동아였다.컬러 사진과 그림 그리고 쉬운 해설로 자연과학 원리와 현재까지의 진행과정을 접할수 있어서 또 하나의 즐거움이었다. 한국인들은 책을 거의 읽지 않는다고 한다.그나마 얼마 .. 책을 읽고 (서평) 2012.08.06
책을 읽고)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저자:이희진 출판사:소나무 2008년간 몇년전 언론에 잃어버린 고구려 역사 137년을 되찾았다라는 기사가 떴다.외국의 유명 교육사이트가 한국의 고구려,백재,신라 건립연도를 심하게 왜곡하여 고구려는 BC 37년 대신 AD 100년으로, 백제는 BC 18년 대신 AD 250년으로, 신라는 BC 57년 대신 AD 350년.. 책을 읽고 (서평) 2012.03.24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시리즈(전3권) 한때는 전설이 되었던 책이 있었다.지금도 고건축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는 이책은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시리즈(전3권)이다. 김봉렬은 끊임없이 묻는다. 건축이란 무엇인가? 이땅에서 건축이란 무엇인가? 그의 이야기는 "건축은 시대의 모습을 담은 그릇이요,깨.. 책을 읽고 (서평) 2012.02.09
조선전쟁 생중계 전쟁사책은 구독자층이 적어서 그리 많지 않습니다.더구나 배경지식이 많지 않은 사람이 보기에는, 지도와 그림이 풍부한 책이 이해가 쉬운데 그런 책은 더욱 드뭅니다. 그런데 그런조건에 가까운 책이 있더군요 <조선전쟁 생중계>란 책입니다. 조선전쟁 생중계/정명섭등 지.. 책을 읽고 (서평) 2012.01.27
책을 읽고)마을로 간 한국전쟁 박찬승 저/돌베개 출판사/320페이지/2010.06 한국전쟁은 끝나지 않았다.2010년 연평도는 전쟁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 속에는 남과 북의 깊은 불신이 있었다 60년전 한국전쟁의 상흔에서 흘러나온.... 휴전이후 60년이 지났다. 그동안 학계의 연구는 전쟁의 발발배경과 진행과정을.. 책을 읽고 (서평) 2011.02.01
책을 읽고)조선 양반의 일생 저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출판사:글항아리/351페이지/2009년 12월 출간 양반은 조선의 지배계층이었다. 하지만 역사에 관심이 있다는 자들중에서도 양반에 대해 제대로 아는자들이 드물다 이는 학계의 연구성과가 부족하고, 성과 자체도 대중들에게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조선 규장각을 .. 책을 읽고 (서평) 2010.08.30
책을 읽고) 한국의 성곽 / 성곽에 관심있는이들에게 추천 손영식 지음/주류성/780페이지/판형 B5 찾는 책이 없었다 나는 성곽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포괄적으로 서술한 책을 원했지만 발견한 서적들은 모두 사진첩수준이었다 하지만 이책은 달랐다 만족스럽지는 못하지만 성곽의 구조와 시설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이 실려있었다 성곽과 전쟁사에 관심있는 .. 책을 읽고 (서평) 2010.08.09
칼의 노래/ 아 ..이순신 참혹했던 전쟁이었다 7년간이었다 산도 불타고 들도 불탔다 보이는곳마다 시체가 산처럼 쌓였고 피가 강물처럼 흘렀다 먹을 것이 없었다 부자가 서로 잡아먹고 부부가 서로잡아 먹었다 뼈다귀는 길에 내버렸다(징비록) 굶어 죽은 송장이 길에 널렸다 한사람이 쓰러지면 백성들이 달려들어 그살을 뜯.. 책을 읽고 (서평) 2010.02.26